+ (7) 썸네일형 리스트형 짧은 영어 영상 추천 영어 공부해서 괜찮은걸 계속 추가 업데이트 하겠다. ✅ "Why People Believe Weird Things" – Michael Shermer📌 미국인의 사고방식 & 논리적 사고 배우기🔗 https://youtu.be/8T_jwq9ph8k (14:11) BBC 영어 쉐도잉 올해 목표중인, 사실 매년 목표중인 하나인 영어 공부를 위해서이번에는 6분짜리 영상을 가지고 듣기, 쉐도잉을 해볼 생각이다.📝 학습 방법첫 번째 청취 (전체 흐름 파악):내용 이해에 집중 (자막 없이 듣기)대충이라도 어떤 주제인지 파악하기두 번째 청취 (중요 포인트 파악):주요 문장, 단어, 표현 메모모르는 단어는 바로 정리세 번째 청취 (세부 내용 파악 및 쉐도잉 연습):따라 말하며 발음과 억양 연습핵심 문장 반복해서 연습 가능하다면 듣고 에세이까지 작성해 볼 예정이다.혼합 학습 루틴🎧 팟캐스트 듣기 후 ➡️ 📝 요약 작성 ➡️ ✍ 관련 주제 에세이 작성오늘의 주제는 Are your drinking enough water? 6분짜리 BBC이다. 아래 스크립트는 유뷰트에서 copy할 수 있다. .. 원격 근무 vs. 사무실 근무: 어떤 게 더 좋을까? 코로나 이후 많은 회사들이 원격 근무를 도입하면서, 나 역시 재택 근무를 많이 경험했다. 처음 코로나 3년 동안은 거의 100% 재택 근무를 했고, 이후 회사 정책이 50% 출근, 50% 재택으로 바뀌었지만 나는 70% 정도 재택 근무를 유지했다. 하지만 작년부터는 출근 비율이 늘어나 60% 출근, 40% 재택으로 바뀌었다. 재택 근무를 오래 하다가 다시 사무실로 출근하는 것은 상당히 힘들었지만, 오늘은 재택 근무 vs. 사무실 근무의 효율성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한다. 1. 재택 근무의 장점과 단점 🏠✅ 재택 근무의 장점집중력 극대화 → 방해 요소가 적으면 효율적으로 업무 수행 가능출퇴근 시간 절약 → 하루에 최소 1~2시간을 절약하여 개인 시간 활용 가능자율적인 업무 환경 → 원하는 책상, 의자,.. 개발자를 위한 운동 루틴 & 건강 관리법 🏃♂️ 개발자로 일하다 보면 하루 종일 앉아 있는 시간이 많다. 장시간 앉아서 코딩을 하다 보면 허리 통증, 목 디스크, 손목 터널 증후군 등 다양한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꾸준한 운동과 적절한 생활 습관이 필수적이다.나는 2017년쯤 회사 셔틀버스 교통사고로 인해 목 디스크와 허리 디스크를 겪게 되었다. 처음 6개월 동안은 병원을 다니며 치료를 받았고, 이후부터는 꾸준한 운동을 통해 몸을 관리하기 시작했다. 원래도 운동을 좋아했지만, 이 시기를 계기로 체형과 건강을 유지하는 운동에 대한 관심이 더욱 많아졌다.이후 직장인이자 개발자로 생활하면서 다양한 건강 문제를 경험했다. 거북목, 허리 통증, 손목 통증 등 앉아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건강이 악화되는 것.. 나의 주식 투자 경험: 슬픔과 배움 나는 2018년부터 주식을 시작했다. 주식 투자라는 것이 참 쉽지 않다는 걸 몸소 경험한 시간들이었다. 많은 사람들이 코로나 시기에 큰 수익을 냈지만, 나는 오히려 그때까지도 물려 있었고, 코로나 이후에도 제대로 된 수익을 내지 못했다.코로나 전후의 주식 시장과 나의 선택코로나 이전부터 보유하고 있던 주식들이 하락하면서 나는 손실을 견디며 존버(장기 보유)를 선택했다. 하지만, 코로나 이후 시장이 상승세로 전환되면서 많은 투자자들이 큰 수익을 냈던 반면, 나는 그 흐름을 제대로 타지 못했다.당시 하락장에서 새롭게 진입한 투자자들은 저점에서 매수하여 엄청난 수익을 냈고, 주식 시장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주식에 관심을 가지는 것은 긍정적인 현상이라고 생각하지만, 사행성이 아닌 장기적인 .. 개발자의 부동산 투자 경험 및 전략 나는 부동산과 주식 투자를 병행하는 개발자이다. 2017년 첫 직장을 얻은 이후, 항상 소득의 50% 이상을 저축하며 경제적 자유를 목표로 삼았다. 서울에서 자취하면서 저축을 지속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었지만, 절약과 철저한 재정 계획을 통해 가능했다.부동산 투자 시작: 첫 매매까지의 과정초반에는 집에서 재정적인 지원을 받아 서울에서 단칸방 전세로 생활할 수 있었다. 전세방에서 1년 정도 거주한 후, 직장과 가까운 오피스텔로 이사했다. 회사에서 제공하는 대출을 활용하여 2년 2개월 정도 그곳에서 살았다.이후 2년 전세 계약이 종료된 후, 다시 1년 연장 계약을 했지만 불과 두 달 만에 집을 매매하게 되었다. 당시 주변에서는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며 주택을 구매하는 사람들이 많았고, 대출 규제가 점점 강화.. 시간 관리에 대한 나의 생각과 경험 시간 관리는 대학생 때부터 필요성을 느꼈다. 대학생 시절에는 학기 중에 각종 공모전, 학교생활, 공부, 시험 준비 등으로 바쁜 일정을 소화하느라 남는 시간이 많지 않았다. 하지만 방학 때는 다소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가 많았다. 알바를 한 번 정도 하긴 했지만, 주로 놀거나 집에서 영화를 보면서 시간을 보냈던 것 같다. 3~4학년 때는 졸업 준비와 동아리 활동 등으로 방학에도 바쁘게 보냈다.하지만 본격적으로 효율적인 시간 관리를 고민하게 된 것은 취업 이후였다. 취업 전에도 하루 또는 한 달 단위로 계획을 세우며 생활하는 습관이 있었지만,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취업 후, 한정된 시간에서의 효율적인 활용취업 후에는 평일 아침과 저녁, 그리고 주말이라는 제한된 시간만이 나를 위한 시간..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