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Network (3) 썸네일형 리스트형 Open RAN (O RAN) 오늘은 ORAN을 정리를 하겠어... Open Radio Access Network (Open RAN) is revolutionizing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by promoting openness, flexibility, and innovation in network deployments. By disaggregating traditional RAN components and introducing open interfaces, Open RAN enables operators to build more adaptable and efficient networks.Understanding Open RANOpen RAN refers to an open radio access .. L1, L2, L3 계층과 Core Network 연결 및 Message 흐름 L1(물리 계층), L2(데이터 링크 계층), L3(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가 사용자의 장치에서 Core Network까지 전달되는 흐름에서 정말 중요한 역할을 해. 오늘은 내가 공부하면서 이해했던 방식으로 각 계층의 기능과 Uplink/Downlink 흐름, 그리고 Core Network와의 연결까지 이야기해볼게. 📍 L1 - 물리 계층 (Physical Layer)💡 L1이 하는 일데이터를 전기 신호나 광 신호로 바꿔서 케이블이나 광섬유 같은 물리적 매체를 통해 보내.전송 속도, 전압 수준, 케이블 종류 같은 하드웨어적인 부분을 정의하는 역할이야.⚡ 핵심 기능비트 스트림 전송: 데이터를 0과 1의 비트 단위로 전송매체 제어: 트위스트 페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등 물리적 연결 관리동기화: 동기식.. Cloud RAN 아키텍처 및 가상화 개념 5G와 차세대 네트워크 시대에서 Cloud RAN(C-RAN)은 기존의 RAN 구조를 혁신적으로 변화시키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의 RAN이 물리적 하드웨어에 기반했다면, Cloud RAN은 가상화된 환경에서 vDU(가상화된 Distributed Unit)와 vCU(가상화된 Central Unit)를 실행하는 것이 특징이다.오늘은 Cloud RAN의 개념, 기존 RAN과의 차이점, 주요 기술 요소 및 이를 활용한 네트워크 최적화 방법을 정리해 보겠다.📍 Cloud RAN이란?Cloud RAN(C-RAN)은 전통적인 기지국(Baseband Unit, BBU) 아키텍처를 가상화하여 클라우드 환경에서 실행하는 방식이다. 이는 기존 RAN(D-RAN, Distributed RAN)과 비교하여 여러 가지 .. 이전 1 다음